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백준 문제 풀이(자바)

백준 자바 알람 시계 문제 답/해설(2884번 문제)

by 리드민 2021. 6. 17.
반응형

[1] 백준 카테고리
단계별로 풀어보기
if문
5단계 2884번 문제

알람 시계


[2] 문제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

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은 그 어떤 것도 없앨 수가 없었다.

이런 상근이를 불쌍하게 보던, 창영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바로 "45분 일찍 알람 설정하기"이다.

이 방법은 단순하다. 원래 설정되어 있는 알람을 45분 앞서는 시간으로 바꾸는 것이다. 어차피 알람 소리를 들으면, 알람을 끄고 조금 더 잘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일 아침 더 잤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학교도 지각하지 않게 된다.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주어졌을 때,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를 언제로 고쳐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입력값
첫째 줄에 두 정수 H와 M이 주어진다. (0 ≤ H ≤ 23, 0 ≤ M ≤ 59) 그리고 이것은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놓은 알람 시간 H시 M분을 의미한다.

입력 시간은 24시간 표현을 사용한다. 24시간 표현에서 하루의 시작은 0:0(자정)이고, 끝은 23:59(다음날 자정 1분 전)이다. 시간을 나타낼 때, 불필요한 0은 사용하지 않는다.

2. 출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할 때, 설정해야 하는 알람 시간을 출력한다. (입력과 같은 형태로 출력하면 된다.)

3. 예제 입력1
10 10
4. 예제 출력 1
9 25

5. 예제 입력2
0 30
6. 예제 출력 2
23 45

7. 예제 입력3
23 40
8. 예제 출력 3
22 55

[3] 정답
1. 해설 포함

import java.util.Scanner;
/* Scanner 사용을 위해서 java.util.Scanner 클래스를
import 한다. */

public class Main {
/* 접근제어자 public으로 Main 클래스를 선언한다.
백준에서는 클래스명이 Main 이여야 한다.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접근제어자가 public이고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반환값이 없는 함수 main을 선언한다.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 Scanner 객체 sc를 선언한다.
		int H = sc.nextInt();
		// 값을 입력받아 정수형 변수 H에 저장한다.
		int M = sc.nextInt();
		// 값을 입력받아 정수형 변수 M에 저장한다.
		int a;
		// 정수형 변수 a를 선언한다.
		int b;
		// 정수형 변수 b를 선언한다.
		if(H!=0){
		/* H가 0이 아닐때 대괄호 안의 코드를 실행시킨다.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대괄호 안에 있는 코드를 건너 뛴다.8?
		if (M>=45)
		// M가 45 이상 일때 대괄호 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한다.
		{
			a=M-45;
			/* 변수 M에 저장된 값에서 45를 빼고 그 값을 
			변수 a에 저장한다. */
			System.out.print(H+ " " +a);
			/* 변수 H에 저장된 값을 출력한 후 한칸을 띄고
			변수 a에 저장된 값을 출력한다. */
		}
		if (M<=44)
		/* 변수 M에 저장된 값이 44 이상일때 대괄호 안의
		코드를 실행한다. */
		{
			H=H-1;
			/* 변수 H에 저장된 값에서 1를 빼고 그 값을 다시
			변수 H에 저장한다. */
			b=45-M;
			// 45에서 변수 M를 빼고 그 값을 변수 b에 저장한다.
			M=60-b;
			// 60에서 변수 b를 빼고 그 값을 변수 M에 저장한다.
			System.out.print(H+ " " +M);
			/* 변수 H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고 한 칸을 띄어쓰기 한 후
			변수 M에 저장된 값을 출력한다. */
		}
		
	}else
	/* if 조건문이 만족하지 않을 경우 밑 대괄호에 있는 코드를
	실행한다. */
	{
		if (M>=45)
		// M이 45 이상일때 대괄호 안에 코드를 실행한다.
		{
			a=M-45;
			// M에서 45를 빼고 그 값을 변수 a에 저장한다.
			System.out.print(H+ " " +a);
			/* H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고 한칸 띄어쓰기 후
			a에 저장된 값을 출력한다. */
		}
		if (M<=44)
		/* if 조건문을 선언한다. M에 44이상 일때 밑 대괄호
		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한다.*/
		{
			H=H-1;
			/* H에 저장된 값에서 1를 빼고 그 값을 변수 H에
			저장한다. */
			b=45-M;
			/* 45에서 M에 저장된 값을 빼고 그 값을 변수 b에
			저장한다. */
			M=60-b;
			/* 60에서 변수 b에 저장된 값을 빼고 그 값을 변수
			B에 저장한다. */
			H=23;
			// 변수 H에 23를 저장한다.
			System.out.print(H+ " " +M);
			/* 변수 H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고 한칸 띄어 쓰기 하고
			변수 m에 저장된 값을 출력한다. */
		}
	}
}
}


2. 해설 미포함(정답만)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H = sc.nextInt();
		int M = sc.nextInt();
		int a;
		int b;
		if(H!=0){
		if (M>=45)
		{
			a=M-45;
			System.out.print(H+ " " +a);
		}
		if (M<=44)
		{
			H=H-1;
			b=45-M;
			M=60-b;
			System.out.print(H+ " " +M);
		}
		
	}else
	{
		if (M>=45)
		{
			a=M-45;
			System.out.print(H+ " " +a);
		}
		if (M<=44)
		{
			H=H-1;
			b=45-M;
			M=60-b;
			H=23;
			System.out.print(H+ " " +M);
		}
	}
}
}

 

반응형